부자되는 확실한 마인드

[MIND SET] 현재 자신이 가난하다면

안경낀감자킴 2023. 8. 13. 17:33
반응형

 

 

 

<첫 번째: 가난함>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에서 밝힌 '2022년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자산 10억 이상의 부자는 42만 4천명에 달한다고 한다. 와닿지 않을 수 있고 남의 일이라 생각하며 그저 대충 읽고 페이지를 넘기기도 할 것이다.

"왜 그들은 부자이고 자신은 부자이지 않은가?"
그들과 자신의 차이점이 뭐라고 생각하는가. 타고난 금수저? 운? 천재적인 두뇌?
모든 부자의 조건을 다 타고나는 사람도 있겠다. 혹은 부자의 조건을 하나도 가지지 못함에도 부자가 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끝없는 노력과 획기적인 아이템으로 사업을 하여 흔히 말하는 대박이 나는 사람들. 
하지만 그건 꿈같은 스토리고, 나에게는 일어나지 않는다며 일찍이 마음을 접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이렇듯 보통 가난의 시작은 부정 으로부터 시작된다. 반대로 긍정을 가진다면 부자가 될까? 이분법적으로 접근해선 안되지만 긍정을 가지게 된다면 부자가 될 확률은 급격히 올라가게 된다. 그러나 긍정을 가진다는건 말처럼 쉽지가 않다. 매 순간 매분 매초 부정적인 상황과 생각이 스스로를 지배하게 될 확률이 높다. 습관 또한 마찬가지인데 자기계발의 선구자 '밥 프록터'는 부정적 마인드를 긍정적으로, 가지고 있던 나쁜 습관을 좋은 습관으로 고치는 것도 상당히 힘들다고 한다. 밥 프록터의 많은 자기계발 서적에선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습관을 통틀어 '패러다임'이라 칭한다. 패러다임이 무서운 점은 새로운 것을 받아 들이는걸 끔찍하게 싫어한다는 점이다. 새로움을 거부하며 기존의 것들을 유지하기 위해 끝없이 괴롭힌다. 그럼에도 생각과 습관에 있어 새로움을 넣고 싶다면 다음의 정보를 알아야 한다.

 

평균적으로 새로운 습관으로 만들기 위해 반복해야 할 행위의 일 수는 66일 이라고 한다. 66일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행해야만 비로소 습관이 될 수 있다고 하며 사람마다 다 다르다(말 그대로 평균이기에). 인생을 통틀어 본다면 66일이라는 숫자는 너무나 작은 숫자이다. 50년의 수명이 남았다고 치면 1/277 의 시간이며 40년은 1/221, 30년은 1/166의 시간이다. 66일이라는 시간을 최선을 다한다면 남은 생을 바뀐 습관으로 살 수 있다는 말이다. 새로운 습관은 새로운 마인드와 새로운 환경을 만들어준다. 습관은 엄청난 복리의 결과로 다가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루에 10분 책읽기를 습관화 한다면, 1년에는 3650분, 10년은 36500분(25일)이며 이는 책을 읽지 않는 사람과의 엄청난 차이로 다가온다.
가난에 대한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태어나서 가난한 건 당신의 잘못이 아니지만 죽을 때도 가난한 건 당신의 잘못이다 ' 라는 말이 있듯이 죽을 때도 가난하지 않기 위해 가난에 대한 이유를 파헤치고 극복해 나가야만 한다. 그 방법 중 하나가 기본적으로 습관에 있다. 

습관이 곧 부자를 만들어 주기도 하기 때문이다. 부자로 만들어주는 습관은 따로 있다.
그렇다면 가난은 어떻게 나오는가?

   가난을 부르는 습관이 있기 때문이다.

 

 

 

 

<두번째: 받아들임>

 

거시적으로 봤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제적 현실은 비슷하다. 정해진 출퇴근 시간, 정해진 급여날, 정해진 휴무일 마치 기계처럼 움직이며 직장을 가지지 못한 상황이라면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을 부러워한다. 어릴 적부터 꿈꿔오던 회사, 경제적인 이유로 인함, 근무환경 등 직장을 선택한 이유는 개개별로 다 다르지만 결국은 경제활동을 함으로써 나오는 보상(급여)을 가장 큰 목적으로 둔다. 
만족하고 있을 수도 있다. 혹은 매순간 불만이 가득 하나 어쩔 수 없다는 이유로 끝없이 스스로를 위로하며 활동을 하고 있을 수도 있다. 개개별 이유야 어찌 됐건 자신이 선택해 마주하고 있는 현실임을 깨달아야 한다. 
취직을 준비하는 과정 또한 자신이 선택한 결과이며 큰 결심으로 빚을 내어 시작한 사업이 망하게 된 것도, 운좋게 성공하게 된 것도 모두 자신이 한 선택의 결과이다.
상황이 어떻든 지금 이 상황에서 나아가야 한다 생각한다면 스스로의 위치와 자신의 선택에 따른 결과를 '받아들이는게' 가장 중요하다.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신의 위치를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
전쟁 도중 패닉에 빠져 정확한 판단을 내리지 못해 전사하는 군인은 셀 수도 없이 많았다. 이 현실을 전쟁과 같이 받아들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돈으로 인해 죽고 사는 시대는 오래전부터 시작됐기 때문이다. 

 

   변화를 위해, 혁신을 위해 알아야 할것들은 간단하다.

   받아들인다. 변화에 필요한 계획을 생각하고 행동한다. 

 

 

 

 

 

 

 

---------------to be continue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