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이슈@@

일본 쌀 품귀현상, 초밥의 나라가 어째서...?

안경낀감자킴 2025. 3. 20. 23:01
반응형

 

 

 

 

 

일본 쌀 품귀현상, 초밥의 나라가 어째서...?

 

 

안녕하세요, 안경낀감자킴 입니다 ㅎㅎㅎ

오늘은 이웃나라 일본의

쌀 품귀현상에 대한 이슈를 다뤄보려고 해요!!

쌀 품귀현상이라니...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는 생각보다 많지 않은데요

쌀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의 대표 나라중 하나인

일본에서 일어난 이슈인 만큼 알아보지 않을 수가 없죠

한번 들어가 보시죠

 

 

 


 

 

 

일본 쌀 품귀현상, 어떤 일이 일어난걸까???

 

 

쌀 수출 강대국중 하나인 일본에서 쌀이 똑 하고 떨어졌습니다. 아이러닉하게 생산량은 늘었으나 시장에 나온 쌀은 줄어드는 알수없는 일이 벌어졌어요. 무섭게도 쌀값은 기존과 비교했을 때 1년만에 70% 넘게 올랐습니다. 쌀이 주식이니 만큼 일본인들은 쌀을 아끼고 또 아끼게 되었는데 긴급한 사태이니 만큼 일본 정부는 뒤늦게나마 비축미를 풀기로 결정 했다고 하는데요.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일어나는 나라이기에 이러한 자연재해때 비축미를 방출하는 것 외에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쌀 20만 t 이 사라졌다????

 

주식으로 사용하는 쌀이 부족해져 일본 시민들의 생활조차 변화가 생기는데요. 대표적인게 외식산업의 변화죠. 외식업계의 공깃밥 가격이 평균보다 오르는 등 밥 한공기 조차도 맘 편하게 먹기 힘든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쌀 부족 현상은 2023년 5kg에 약 2만 4천원대에서 24년 여름쯤 부터 3만원에 가까운 금액으로 올랐다고 합니다. 쌀 생산량이 줄어든 탓도 있으나 농림수산성은 큰 걱정이 아니라고 판단했어요. 하지만 그건 큰 판단미스였습니다. 쌀 가격은 점점 더 올라 2025년 1월에는 5kg에 3만 5천원을 돌파했거든요. 이 결과값은 시장에 풀린 쌀이 줄어든 영향으로 보고 있어요. 일본농업협동조합이 집계한 쌀 집하량이 2023년 보다 20만6천톤이 줄어 있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그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었습니다. 이상하게도 2024년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2.7% 늘어난 상태였기 때문이에요. 결론적으로 생산량은 늘었으나 시장에 나온 쌀이 줄어들게 된 셈이죠. 아직도 그 원인은 밝혀 지지 않았어요. 중국측에서 쌀값차익을 이용해 이득을 취하려 사재기를 한게 아닌가, 관광객 증가에 따라 쌀 소비량이 많아진게 아닌가, 하는 소문이 무성할 뿐 입증된 사실은 없다고 해요.

심각성을 느낀 일본 정부는 지난 2월13일 정부 비축미 20여만t을 풀기로 결정했습니다. 쌀은 3월 말이 돼서야 마트에 풀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일본 정부의 농업 정책 외면, 이번 사태의 원인이 되는가?

 

일본 시민들의 고충이 드러나고 나서야 일본 정부는 사태의 심각을 느꼇다고 합니다. 다만 부정적 결과가 나온 후에 대응을 시도한 것으로 보아 뒤늦게 대응에 나섰다는 지적도 많이 나오고 있어요. 혹은 일본 정부가 농산물 생산량 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 라는 의견도 있어요. 

일본 언론에서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쌀이 귀해지는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해요. 기후위기나 농업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 생산량 자체가 줄 것이라는 예상도 나와요.

일본이 직면한 쌀 부족 현상은 비단 일본만의 문제는 아니에요. 쌀농사를 하고있는 한국이 직면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예측불가의 날씨, 해충, 젊은 사람의 농어촌 이탈, 지속적으로 오르고 잇는 농자잿값 등 많은 이유로 대한민국의 농업 경제는 앞날이 캄캄하다 표현 할 수도 있습니다.

 

 

 


 

 

 

대한민국 또한 쌀이 주식이며

밥심 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니죠.

일본 시민들이 겪고 있을 쌀부족으로 인한 피해는

수면위로 밝혀진 것 보다 더 클거라 생각해요.

쌀 부족의 현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대한민국도 농업에 조금더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